TPM 이란 무엇인가?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은 장비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조직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관리 방식입니다. 마치 톱니바퀴가 서로 잘 맞물려야 제대로 돌아가는 것처럼, 모든 부서와 직원이 관여하는 것이 포인트죠.
만약, 장비 유지 보수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예기치 않은 정지나 고장이 빈번해지게 되는데요. 이는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즉, TPM은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설비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할 수 있어요!
TPM 구조와 추진
TPM의 추진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TPM은 전담 조직 구성을 하고 단계별로 접근하여 명확한 목표 설정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실행 단계의 8가지 주요 활동에는 5S활동, 자주 보전 활동, 계획 보전 활동, 개별 개선 활동, 교육 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개선 및 발전을 통해 조직에 맞는 TPM 문화를 정착하는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 8가지 주요 활동
①자율 유지보수 ②집중 개선 ③계획 유지보수 ④품질 유지보수
⑤초기 장비 관리 ⑥교육 및 훈련 ⑦안전 및 환경 관리 ⑧사무 TPM
TPM 성공 사례
다른 기업들은 TPM을 어떻게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을까요?
글로벌 식품 및 음료회사인 네슬레는 TPM을 통해 Overall Equipment Effectiveness (OEE/설비 종합효율)를 향상시키고자, 운영자를 장비의 소유자로 만들어 기본적인 유지보수 작업을 맡겼습니다. 그 결과, OEE를 크게 향상시키고 생산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미국의 모터사이클 회사인 Harley-Davidson 또한, TPM을 통해 외주로 유지보수를 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기계 운영자를 중심으로 유지보수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계의 신뢰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킨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위 사례들은 TPM 추진을 통해 장비 고장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며,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무엇보다, TPM은 직원들의 책임감과 참여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한국표준협회 TPM 관련 교육 안내
한국표준협회에서는 효과적으로 TPM을 추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고자 다양한 교육을 준비했습니다. 해당 교육을 통해 직원들은 장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배우고, 이를 통해 조직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ㅣ교육 목표
전문 교육 기관 한국표준협회에서 준비한 해당 교육을 통해, 다양한 사례와 함께 TPM의 이론부터 관리하는 A to Z를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
ㅣ교육 소개
모듈 |
세부 내용 |
일차 |
---|---|---|
TPM 개론 |
TPM 혁신의 필요성 [사례 연구] 8대 기능 구조와 추진 3정5S 생활화 |
|
자주 보전 활동 |
자주 보전 활동 개요 7스텝 전개와 특성 [사례 연구] 스텝 진단과 활동 |
|
개별 개선 활동 |
설비 종합 효율과 6대 로스 개별 개선 추진 방법과 활용 기법 |
|
계획 보전 활동 |
계획 보전 추진 체계와 목표 계획 보전 스텝 전개 |
|
MP와 초기 관리 |
MP 정보 활용과 설비 초기 관리 체계 |
|
품질 보전 활동 |
품질 보전 8자 전개 방안 업무 효율화 개선 자주 안전 추진 방안 |
|
교육 훈련 활동 |
운전 보전 요원 스킬 향상 |
|
TPM 효과 측정 |
효과 측정 지표와 평가 TPM 성과와 경영 성과의 연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20-22 역삼 |
10-12 대전 |
31-4.2 부산 |
|
26-28 역삼 |
|
14-16 역삼 |
|
8-10 역삼 |
29-31 대전 |
10-12 역삼 |
|